사자성어

후안무치

서 휴 2023. 10. 10. 17:20

후안무치

서 휴

 

후안무치(厚顔無恥)두꺼울 후(), 얼굴 안(), 없을 무(), 

부끄러워할 치(), 낯가죽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른다.

     

              옛날 하(나라 시절에 계()나라 군주의 아들인

태강(太康)은 백성을 위한 일은 하나도 하지 않으면서,

 

              오르지 사냥만을 즐겨 하다가 끝내 나라를

              빼앗기고 쫓겨나게 되었다.

 

태강(太康)의 다섯 형제는 나라를 망친 형을 원망하며번갈아

가면서 노래를 불렀는데그중에서 막내의 노래가 전해오고 있다.

 

      萬姓仇予予將疇依鬱陶乎予心顔厚有.

      (만성구여 여장주의  울도호여심  안후유)

 

      만백성이 우리를 원수라고 하니,

      우린 장차 누굴 의지할지 답답하고 슬프구나,

      이 마음, 낯이 뜨거워지고 부끄러워지누나

 

      巧言如簧  顏之厚矣 (교언여황  안지후이

      피리 소리처럼 교묘한 말을 하였으나

      낯이 두꺼워도 부끄러워지누나.

 

이에서 후안(厚顔이란 단어가 나오며논어(論語위정편(爲政篇)

나오는 무치(無恥)와 만나 후안무치(厚顔無恥)란 합성어가 된 것이다.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 無恥,

      (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 무치)

 

      정치를 할 때에 백성을 형벌로써 다스리면,

      백성은 처벌에서 벗어나도 부끄러워함을 모른다.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도지이덕 제지이예 유치차격)

 

      덕으로 다스리고 예로써 다스리면,

      부끄러운 줄을 알게 되어 잘못을 바로잡는다.

 

법을 엄하게 하면 사회 질서는 유지할 수 있으나법이나 형벌이

지나치게 엄하면백성들은 자신의 잘못을 수치로 여기기보다는

형벌에 대한 두려움이 앞서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 들 것이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덕()으로 인도(引渡하고

       윗사람 스스로가 모범(模範)을 보인다면,

       백성들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 즉시,

       부끄러움을 느껴 고칠 것이라는 뜻이 된다.

 

법치주의(法治主義)에 대해 덕치(德治)와 예교(禮敎)를 내세우는

유가(儒家)의 통치 원리를 그대로 보여주는 말이 된다.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진감래  (0) 2023.10.11
기고만장  (0) 2023.10.10
금란지교(金蘭之交)  (0) 2023.09.04
대기만성  (0) 2020.07.05
이란투석  (0) 2020.06.02